정의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둠 (Treponema pallidum )라 는 나사모양의 병원체(病原體)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 는 만성전염병이다. 대표적인 성전파질환의 하나로서 주로 매독 환자와의 성교 또는 입맞춤 상처없는 피부 나 점막등으로 감염되거나 간혹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 해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이를 선천성 매독이라 고 한다. 옛날에는 서인도제도의 지방병이었는데, 콜 럼버스의 원정대에 의해 1493년 유럽으로 들어왔으 며, 차차 동양에까지 번졌다고 한다. 감염된 후 경과 함에 따라 증세가 달라지는데, 제1기·제2기·제3기 및 변성(變性) 매독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 매독 감염율을 보면, 20세 이상의 정상인이라 사료되 는 성인에서 VDRL(매독 혈청검사) 양성율이 1977년 2.5%였으나 1981년 1.1%, 1986년 0.6%, 1990년 0.4% 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실정이다.

원인
병원균 트레포네마는15μ정도의 길이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가늘고 긴, 꼬인 실 토막 같은 모양의 한 미생물로 성접촉시 감염자의 피부 또는 점막에서 매독균(Treponema pallidum)이 피감염자의 피부나 점 막을 통해 침입함으로써 감염을 일으킨다. 그러나 드 물게는 의료 종사자가 트레포네마에 접촉해서 감염되 거나, 매독환자의 혈액을 수혈 받아 감염되기도 한 다. 또한 선천매독이라 하여 어머니가 매독에 걸려 있 어서 태아가 자궁 내에서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증상
매독은 그 병기에 따라 매우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낸 다. 또한 매독의 증세가 나타나는 것을 현증매독, 트 레포네마의 감염을 받고 있어도 증세가 나타나지 않 는 것을 잠복매독이라고 한다. 제1기의 경우 감염이 된 후 약 3주가 지나면 매독 병 원체의 침입부위에 초기 경결이라 하는 완두콩 크기 의 응어리가 생긴다. 연골과 같이 만져지며 홍갈색을 보이고 마침내는 표면에 궤양이 생긴다. 이 궤양을 경 성하감이라 하며 대개 한 개가 단독으로 나타나지만 때론 여러개의 작은 궤양이 함께 출현하는 경우도 있 다. 단단하고, 경계가 분명하고, 통증이 없다. 그 가 장자리는 불룩하게 솟아나 있고 저면은 단단하다. 주 로 성기 부위에 많이 생기지만, 입술, 항문, 혀 등에 서도 발생되기도 한다. 여자는 성기구조상의 특징 때 문에 외음부에 생기지 않고 질벽이나 자궁경부에 경성 하감이 생기면 여성자신이 전혀 감지할 수 없다는 문 제가 있다. 경성하감은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아도 그 냥 자연히 없어진다. 이어 이들 병변 부위 가까이 있 는 림프절이 붓고 다시 전신의 림프절이 붓기 시작한 다. 감염 후 6주일이 지나면 비로소 매독혈청반응이 양전하는데, 여기까지 시기를 혈청음성기라 부르고 이 시기에 치료를 개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기 매독의 특징은 증상이 전신적으로 온다는 것이 다. 감염 후 약 3개월이 지나 나타나며, 빨간 반점 이 전신에 나타나며 생식기나 항문 주변에 흰색의 고 름이 나기도 하며, 두통·미열·고열∙인후통∙관절통 ·권태감∙임파선의 종창∙간/비장비대 등의 전신증세 가 나타난다. 방치해 두면 저절로 사라지지만 약 3년 간은 반복해서 재발한다. 이 시기에는 매독진 외에 편 평 콘딜로마나 탈모증도 볼 수 있다. 2기 매독의 경 우 혈행을 통해 어느 내부 장기에도 매독균이 침범할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도 침범하나 중추신경계에서 매독균이 사멸한다. 사멸되지 않고 증식하여 손상을 주면 신경매독 증세가 나타난다. 2기 매독을 적절하 게 치료하면 신경매독으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복기 매독 : 제2기 매독 증상이 모두 없어진 시기 로 혈액검사에는 매독이 양성으로 나오나 뇌척수액 검 사에는 음성으로 나오는 시기를 말하며 보통 수개월동 안 지속되지만 일부는 3기 매독으로 진전되기도 한 다. 경우에 따라 일생동안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제3기 매독은 감염 후 3년이 지나면 고무종(Gumma) 이 라고 하는 전형적인 병변을 나타난다. 3기 매독은 근 육이나 뼈, 신경, 혈관, 심장을 침범하여 치명적인 결 과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1기 매독 시기나 잠복매 독 시기 그리고 3기 매독 시기엔 매독 혈청 반응검사 상 모두 양성을 보이진 않는다. 따라서 매독이 의심되 면 특이도와 민감도가 높은 정밀검사로 확인하는 것 이 좋은 것이다. 처음에는 피부 속에 또는 피부 밑에 콩알만한 크기부터 달걀만한 크기에 이르는 덩어리가 만져지며 그것이 커짐에 따라 피부면에 솟아나며 동홍 색을 나타낸다. 단단하기가 고무와 같고 눌러도 아프 지 않으나, 마침내는 중심부가 연해져 파괴되어 분화 구 모양의 궤양이 생기고 점점 커진다. 궤양은 특히 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반대쪽에서부터는 반흔치유 가 되므며 다시 재발하는 수가 많으며 심혈관계나 중 추신경계와 같은 내부 장기조직에 괴사와 같은 내부 장기조직에 괴사와 섬유증을 일으키고 흔적을 남긴 다. 흔히 고무종이라 하는 것으로 뼈·관절·근육·림 프절 등에 생기며 피부에까지 이르는 것도 있다.

치료와 예방
매독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페니실린 제제를 사용하 나 페니실린 제제에 대해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환자에 게는 테트라사이클린 제제나 에리스로마이신 제제를 사용한다.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은 조기 매독의 40% 는 자연치유 되나 60%는 잠복 또는 만기 매독으로 진 행하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매독의 경우 치료를 시작하면 3주안에 치유된다. 임신 초기 에 혈청검사를 하여 매독 여부를 알아보으로써 혈청 음성기에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양전 후 오래된 것일수록 치유되기 어렵다. 현재 페니실린 요법이 주 류를 이루며, 합성 페니실린의 내복요법은 치료를 쉽 게 이끌어간다. 그리고 에리스로마이신을 내복하기도 한다. 사용량과 치료기간은 증세와 경과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하며, 치료에 성공하더라도 금방 혈청반응이 음전하는 것이 아니므로 치료가 끝난 후에도 6개월 동안 매월 혈액검 사를 하여 재발 여부를 알아보고 그 후 2년 동안은 3 개월에 한 번 씩 검사해야 함 검사를 받아 음성이 되 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본인과 성교 상대자 가 모두 치료를 받아야한다. 치료한 경우에도 1년 이 내에 10%의 환자에서 재발하는데 이 경우 다시 치료 를 받아야 한다. 만기 매독의 경우 치료를 충분히 하 여 완전히 나은 것으로 생각했는데 매독 혈청반응만 이 양성을 보이는 일이 있다. 이런 경우, 항체가 높 을 때에는 여전히 감염원이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언 제 치료를 그만두어도 될 것인가는 매독 혈청반응의 항체와 그 변동을 참고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상대자가 감염된 것 같으면 가능한한 성교를 피 하고, 성교시에는 고무로 된 콘돔을 사용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