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포럼 대표 김원석

얼마 안 있으면 무자년(戊子年) 쥐해가 밝습니다.

왠지 쥐는 우리와 가까이 하고픈 동물이 아닙니다.
쥐는 우리에게 해를 주지만, 위험을 미리 아는 본능이 있어 우리를 돕고. 또 어려운 가운데서 살아남는 근면한 동물이고, 재물과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상징이라고 합니다. 이에 쥐해에 태어난 이는 먹을 복과 함께 좋은 운명을 타고난다고 합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쥐는 집에 사는 쥐로 원래는 서남아시아에서 살다가 15~18세기 경 해양문화의 발달로 온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합니다.

우리 문헌에 쥐에 대한 기록이 처음 나오는 것은 삼국유사에 전하는 신라 때 사금갑(謝琴匣)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 사실적인 기록으로는 삼국사기에 실린 것으로 혜공왕 때 강원도 치악현에서 8천 마리에 이르는 쥐들이 이동하는 정말로 이상한 일이 있었는데, 그해 눈이 내리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김유신 장군 등 능원에 새겨진 12지 신상이나, 양산 통도사에 있는 12지 신상 그림에도 쥐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고려 때, 조선시대 때에 많이 나오는데 대개는 12지신 가운데 나옵니다.

쥐는 행동이 매우 민첩하고 잔꾀도 많아. 종족끼리는 질서가 분명해 부부침실과 새끼들 방, 또 화장실과 식량창고 등이 따로 구분되어 있답니다. 게다가 쥐는 화산이나 지진, 또는 홍수나 산불 등 자연재해를 미리 예고해주는 영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쥐가 집안에서 갑자기 보이지 않으면 불길한 징조로 여겼고, 고기잡이 나가는 어부들은 배 안에 쥐가 보이지 않으면 불길하다 하여 고기잡이를 삼가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부지방에서는 배 안에 배서낭을 모시고 쥐들을 살게 하였답니다. 배서낭이란 남쪽 해안 지방에서, 배 고사를 지낼 때 배의 신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런 쥐는 다산(多産)의 상징이고, 쥐는 다복(多福)의 상징입니다. 그래서 쥐띠는 먹을 복과 함께 다복한 운명을 타고난다고 합니다. 눈치가 빠르고 어려운 여건에서 끈질기게 살아남는 습성에서 나온 게 아닌가 합니다.

쥐해를 맞아 명동포럼 가족 여러분 모두가 다복하시고 이루고자 하는 일 모두 이루시기를 기도드립니다